우리에게는 설날에 일가친척들에게 세배를 올리고 세뱃돈을 받는 문화가 있습니다. 세뱃돈은 새해 첫날에 받는 돈이기에 기분 좋게 쓰라는 의미로 신권으로 주고받고는 하죠.
그러나 분명 많은 돈을 세뱃돈으로 받았음에도 불구하고 연휴가 끝나자마자 텅 비어있는 지갑을 마주한 경험, 한 번쯤은 있을 거에요.
왜 우리는 평소에 소액의 배달비, 택배비 등에는 돈을 아까워하면서, 설날에 받은 세뱃돈은 쉽게 써버리는 걸까요?
| 하우스머니 효과란?
기대하지 않았던 이익을 얻었을 때 전보다 더 큰 위험을 감수하려는 현상을 ‘하우스머니 효과(House Money Effect)’라고 합니다. 이는 앞선 사례의 심리를 설명하는데 적용될 수 있습니다. 존 노프싱어 교수가 실시한 연구에서 도박꾼들이 예상치 못하게 큰돈을 땄을 때 다시 그 거금을 올인하여 배팅한다는 것에서 유래되었죠.
존 노프싱어 교수가 진행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동전 던지기 게임’으로 돈을 잃은 사람은 41%만 다시 배팅에 참여했지만, 돈을 얻은 사람은 77%가 다시 배팅에 참여했습니다.
즉, 쉽게 얻은 돈은 원래 자신의 돈이 아니었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그 돈에 대한 위험 기피 성향이 낮아지고 돈을 쉽게 쓰게 된다는 것입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인간은 같은 액수의 돈이어도 자신의 심리나 상황에 따라 그 돈의 가치를 더 크거나 작게 느끼고는 합니다.
인간이라면 본능적인 손실회피경향으로 기존에 자신이 가지고 있던 돈으로 단번에 거금을 올인하는 도박이 쉽지 않습니다. 하지만 공돈, 즉 내 돈이 아니라는 심리적 기제가 발동하면 그 돈을 공격적이고 위험한 투자로 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자신이 열심히 일해서 번 돈은 그것을 벌기 위해 노력한 만큼 쉽게 쓰지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설날에 받은 세뱃돈처럼 노력 없이 얻은 돈은 공돈이라고 생각해 쉽게 써도 된다고 인식하게 되는 것이죠.
| 공돈 효과라는 본능을 이겨내기 위해서
정부는 코로나 19 사태에 대한 피해를 보상하기 위해 일부 국민을 대상으로 ‘재난지원금’을 지급했습니다. 그러나 재난지원금으로 생필품을 구매하는 것이 아닌 사치품을 구매하는 사례가 다수 있어서 논란이 된 바 있었죠.
이 또한 재난지원금이 분명 자신이 낸 세금을 다시 돌려받는 것임에도 이를 공돈이라고 느끼는 심리 때문에 불필요한 소비를 충동적으로 하게 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공돈이 생겼을 때 나의 돈을 지키기 위해서는 몇 가지 실천 방법을 알고 있어야 합니다.
첫 번째로, 앞서 소개한 '공돈 효과'에 대한 인지가 필요합니다. 언제든 자신에게 예상치 못한 수입이 들어오면 돈을 쉽게 써버릴 수 있기 때문에 돈이 생기면 묶어둘 통장이나 특정 도구를 찾아두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두 번째로, 가계부를 작성하는 것입니다. 자신의 소비 패턴 혹은 자신의 소비 성향에 따라서 항목별로 예산을 설정해두고 그 안에서 소비하도록 합니다. 그리고 가계부에 금전적 여유가 생기거나 공돈이 생기면 구매할 품목을 미리 정해두었다가, 공돈이 생겼을 때 구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대부분의 현대인은 현금이 아닌 카드를 사용하여 소비하고는 합니다. 따라서 소비를 한 즉시 내 지갑 속 돈이 빠져나가는 것을 체감하지 못하여 돈을 쉽게 쓰고는 합니다. 따라서 자신이 언제든 공돈 효과로 인한 비이성적인 소비를 할 수 있음을 인지하고, 자신의 필요에 따른 계획적인 소비 습관을 들이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 될 것입니다.
님도 이번 설날에는 충동적인 소비 대신 계획적인 소비를 준비하는 건 어떨까요?
* 참고 문헌
1) 화려,김정애,and 김재휘. "공돈에 대한 감정과 메시지 프레이밍이 기부연계 제품 구매촉진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2.1 (2012): 321-321.
4) ebs 방송.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67207&docId=6031931&categoryId=67211
|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사진을 누르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통장 잔액을 위태롭게 하는 그 이름, 충동구매!
충동구매를 하게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충동구매를 하는 사람들의 특징을 '허전함을 채우기 위해 감정소비를 하는 것' 이라고 보는 견해도 있습니다. 누군가는 스트레스를 해소하기 위해 누군가는 보상심리로 인해, 또 누군가는 광고에 혹해서 충동구매를 하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이런 충동구매! 괜찮은 걸까요?💄
통장을 스쳐가는 월급, 이 놈의 과소비!
직장인들이 가장 기다리고 행복한 날! 하면 월급날 일거에요. 하지만 반대로 가장 허무한 날 역시 월급날인 경우가 많습니다.
월급날에 맞춰 빠져나가는 자동이체들 때문인데요. 급여와 소비의 문제! 심리학적 관점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쁨, 행복, 슬픔, 분노, 우울 등 인간에게는 다양한 심리 상태가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그 중에서도 외로움이 가장 해결하기 힘든 문제라고 생각한다. 일단 행복한 감정은 굳이 해결할 필요가 없고, 부정적인 감정은 그 원인을 알아내서 제거하면 된다. 하지만 외로움은 누가 해결해줄 수도, 내가 해결하고 싶다고 극복할 수 있는 문제도 아니다.
기사의 내용도 외로움의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자신의 내면에 있다고 언급한다. 그 말인 즉슨, 지독한 외로움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은 바로 자기 자신에게 있다. 과거의 내가 그랬듯 스스로에 대해 고민하고 성장을 위한 노력에 시간을 투자하다보면 고독했던 시간들은 어느새 과거에 머물러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