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님
이불밖은 위험해!!
를 새삼 느끼는 알밤🌰,
모들이입니다.
바깥날씨가 어찌나 추운지요.
자꾸자꾸
이불속의 포근함에
빠져버리는 요즘이에요.
그래도 낮을 지켜주는
따뜻한 햇살 덕분에
예쁜 조약돌을 한개, 두개
모으기도 했답니다.
님도
조약돌을 좋아 하시나요?
따뜻함 가득한
매일이 되길 바라며
오늘의 ‘심리학 편지’ 시작합니다! |
|
|
중독의 끝!
한 번이라도 손대면 멈출 수 없다.
펜타닐💊
|
|
|
지난해 5월 대검찰청에서 ‘2021년 마약류 범죄백서’를 발표했습니다.
‘2021년 마약류 범죄백서’에 따르면, 21년도 전체 마약류 사범 중 20대와 30대가 56.8%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19세 이하는 450명으로 이전 해에는 313명이었던 것에 비해 43.8%P 증가했습니다.
젊은 연령 층에서 유행처럼 퍼지는 마약을 알고 계신가요? 바로 펜타닐! 펜타닐은 합성 아편류 마약의 일종으로 암 환자나 극심한 통증을 호소하는 환자에게 처방하는 매우 강력한 효과를 지닌 마약성 진통제에요. 그러나 상대적으로 낮은 가격과 높은 접근성으로 인해 펜타닐이 불법적으로 처방 및 거래되고 있는 현실입니다.
그 예로 펜타닐을 학교 및 공공장소, 가정에서 불법으로 투약한 10대 42명이 경찰에 적발되는 사건을 비롯하여 ‘고등래퍼’를 통해 이름을 알린 래퍼 윤병호가 펜타닐 사용을 인정하는 일도 있었습니다. |
|
|
| 왜 시작하는 것일까? : 사회적 동조
Freud는 아편에 의존하는 이유를 충족되지 못한 성적 만족의 추구과정이라고 생각했습니다. 그는 부적절한 성적 심리 발달이 자아 및 초자아 기능의 미성숙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았습니다. 충족되지 못한 성적 욕구와 그와 관련된 불안, 우울 등으로 인해 아편에 의존하게 된다는 것이죠.
그에 반해 Khantzian(1985, 1990)은 물질 의존이 자아 기능의 결손, 즉, 인지적, 생리적 문제에 의한 것이라 말했습니다. 그는 약물 의존이 잘 나타나는 사람들은 대처 능력의 미숙, 부적절한 의존 욕구, 욕구 만족의 좌절 등의 미숙한 자아 기능을 지닌 사람들이라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나 최근 대한민국에서 일어나는 펜타닐의 유행은 성적 욕구와 개인의 인지적, 생리적 문제로 인한 것이 아닌 사회적인 동조의 영향이 가장 큰 것으로 보여서 더 문제가 됩니다.
‘KBS 시사직격’과의 인터뷰에서, 한 래퍼 지망생은 “동경하던 아티스트들이 먼저 펜타닐을 시작하고 다른 사람들도 다 이거 하는데 너 이거 안 하면 못 어울린다.”라는 이야기를 듣고 많은 사람이 펜타닐을 시작했다고 밝혔습니다.
이처럼 한 집단의 영향으로 개인의 태도나 행동에 집단과 유사하게 바뀌는 현상을 크게 동조라고 합니다. 이러한 동조는 크게 두가지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집단에서 혼자 다르게 보이고 싶지 않아 따라 하는 규범적 영향의 동조와 집단의 결정이 옳은 것처럼 보여 따라 하는 정보적 영향의 동조가 그것이죠.
최근 특히 래퍼들 사이에서 펜타닐이 유행한 이유는 규범적 영향으로 인한 동조라고 볼 수 있습니다.
Shedler와 Block(1990)은 동료의 압력과 더불어 아편의 구입이 용이해진 점이 최근 아편을 비롯한 물질 남용이 증가하는 원인이라고 지적하였습니다. 마약을 시작하는 원인은 사람들 개개인의 문제일 수도 있겠지만, 그들이 속해있는 집단의 분위기와 마약에 접근하기 쉬운 사회가 더 문제라고 보고 있는 것이죠.
|
|
|
| 왜 그만둘 수 없을까? : 중독
‘2021년 마약류 범죄백서’에서 공개한 2021년도 전체 마약류 사범의 재범률은 36.6%로, 국가지표체계에서 공개한 대한민국의 전체 재범률이 24.6%인 것에 비해 매우 높은 수준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마약류 범죄의 재범률이 높은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중독이 그 원인이라 할 수 있습니다.
중독은 미국정신의학회의 정신장애 분류 체계인 DSM-V에서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Substance-Related and Addictive Disorders)로 하나의 장(章)을 이루고 있을 만큼 중요하게 다루는 질병이기도 합니다.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는 술, 담배, 마약과 같은 중독성 물질 혹은 중독성 행위에 심취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부적응적 증상(일반적인 사람들은 하지 않는 특이한 행동)을 말합니다.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에서 펜타닐의 경우 아편류-관련 장애에 속합니다. 여기에는 의존과 남용이 포함되는데 다른 마약류에 비해 매우 강한 의존성을 초래하기에 사용 중단 시 매우 강력한 금단 증상을 경험하게 됩니다.
특히 펜타닐의 경우 단 한 번만 투약해도 중독이 되기에 호기심으로 하는 일은 없어야 합니다.
펜타닐의 금단 증상에는 하품, 재채기, 눈물 흘림, 땀 흘림, 구역, 구토, 설사, 복통, 동공의 확대, 두통, 불면, 불안, 경련, 전신의 근육과 관절의 통증, 호흡곤란, 심계항진, 오한, 열감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금단 증상들이 일상생활 중 갑자기 찾아오게 되고 다시 마약에 손을 대는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
|
|
| 이러한 위험에서 벗어나기 위해
개인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마약을 시작하지 않는 것입니다. 마약류의 경우 한번 시작하면 그만두는 것이 매우 어렵기에 처음부터 쳐다도 보지 않아야 하는 것이죠.
하지만, 이미 아편류 의존의 문제를 겪고 있다면 개인의 경우, 국가에서 지정한 치료감호기관에서 일정 기간 치료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심리적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한 스트레스 대처 능력, 사회적 기술훈련, 자기주장훈련 등이 필요합니다.
최근 마약류 오남용의 문제가 사회적으로 논란이 되자, 식약처에서는 마약류 처방에 대한 안내서를 발행했습니다. 또한, 점검을 통해 마약류 취급 기준을 미준수한 의료기관에 대해 행정 처분 의뢰를 신청하는 등의 조치를 하고 있죠.
정부 역시 2022년도 마약류 관리 종합대책을 바탕으로 문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조치하려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청소년들이 몇 번의 검색으로 쉽게 마약 판매처를 알아낼 수 있는 현재의 온라인상의 문제 해결에 대해서는 마땅한 해결 방안이 없습니다.
또한, 의료진들에게 마약류 의료 쇼핑 방지 정보망의 사용을 권고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점이 한계점으로 꼽을 수 있습니다.
마약 중독을 줄이기 위해서는 좀 더 적극적인 규제를 바탕으로 사람들이 중독의 구렁텅이로 빠지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추가로, 마약류를 근절하고 처벌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지만 이미 중독이 되어 힘들어하는 사람들과 사용 중지를 원하는 사람들에 대한 의료 서비스의 접근성을 높이는 것 역시 필요할 것입니다.
|
|
|
* 참고 문헌
1) 김교헌. (2007). 중독, 그 미궁을 헤쳐 나가기.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667-693.
2) KBS1, 시사직격, 2021년 12월 03일
3) 권석만. 2019년 7월 10일. 현대 이상심리학 2판, ㈜학지사 |
|
|
마약, 나도 한 번?
한국은 더이상 마약청정국이 아닙니다. 성인뿐만 아니라 10대 아이들이 마약을 접하는 것도 새삼스러운 일이 아니게 되었죠. 더이상 먼 이야기가 아니게 된 마약중독은 왜 발생하게 되는 것일까요?💉
|
|
|
일상 속에 녹아든 강박, 행위 중독
우리는 마약뿐 아니라 다양한 행위에 중독되고는 합니다. 스스로를 통제할 수 있는 능력을 상실하게 되면 그 대상이 무엇이던 간에 중독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중독은 무조건 나쁘기만 한 걸까요? 행위 중독을 향해 가져야 할 자세에 대해 알려 드려요.🚴♀️
|
|
|
제가 준비한 편지는
여기까지입니다.✏
간혹 뉴스매체를 보면서
왠지모를 두려움이
생기고는 해요.
먼 나라 이야기라고 생각했던
많은 일들이
어느새 내 주위에서
벌어지고 있으니까요.
하지만 건강한 마음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내면의 이야기에 귀 기울인다면
주위에 휩쓸리지 않는
님을 찾을 수 있을 거에요.
지금까지의 편지가
마음에 드셨다면
아래의 버튼을 눌러
답장을 보내주세요!
그럼 저는 다음 편지를 위해
다시 여행을 떠나보겠습니다!
님에게
좋은 친구가 되고 싶은
모들이 올림.
|
|
|
-
요즘 가짜 뉴스에 대한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최근 마약과 관련해서 기사가 난 연예인도 그렇고 우리의 일상 속에 많은 가짜 뉴스가 포함되었다는 느낌을 받습니다. 이 기사를 보고 초반 설명은 괜찮았으나 마지막 결론이 조금 아쉽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우리가 가짜 뉴스를 어떻게, 왜 구분해야 하는 지와 같은 태도에 대해 더 썼더라면 조금 더 좋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다양한 매체를 이해할 수 있는 영역인 미디어 리터러시를 우리가 길러야 한다는 내용이 있었다면 좋았을 것 같습니다. 좋은 기사 써주셔서 감사합니다. |
|
|
모들레터 modeul.letter@gmail.com
02-922-2600
서울 성동구 성수이로 87 성문빌딩 본관 305호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