밥 먹으면서 스마트폰 보기, 티비 보면서 또는 친구랑 전화하면서 메시지 하기 , 유튜브 틀어놓고 공부하기, 공부하다가 또는 일하다가 연락 확인하기 … 더보기
뜨끔하셨나요? 혹시 이 중에서 오늘 하나라도 하신 것이 있나요? 그렇다면 당신은 멀티태스킹의 피해자일지도 모릅니다.
‘바쁘다 바빠 현대사회’에서 멀티태스킹을 잘하는 사람들은 효율적인 ‘일잘러’라며 칭송받곤 합니다. 하지만 많은 연구 결과에서 밝혀졌듯이 멀티태스킹은 결코 효율적이지 않습니다.
멀티태스킹은 우리가 일을 효율적으로 잘 처리하며 생산적으로 살고 있다는 ‘착각’에 빠뜨립니다. 둘 다 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사실 자세히 보면 둘 다 제대로 못 하고 있는데 말이죠.
| 우리의 뇌가 지치는 이유
인지과학계에서 저명한 대니얼 레비틴 교수는 그의 저서 ‘정리하는 뇌’에서 멀티태스킹은 뇌의 효율적인 사용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이는 ‘신속한 주의 전환’으로 일 사이에서 주의를 매우 빠르게 옮겨 가는 것입니다. 이때 뇌는 엄청난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결국 탈진하게 되는 것이죠.
이것이 바로 여러 일을 했음에도 불구하고 어느 것도 완성되지 않고 이미 뇌가 지쳐버린 이유입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계속해서 여러 일을 한번에 하게 되는 것일까요? 멀티태스킹을 행할 때 우리 뇌는 ‘도파민’을 분비하게 됩니다. 도파민은 대표적인 호르몬 중 하나로 기분 좋은 감정, 짜릿한 감정 등을 느끼게 하고 멀티태스킹을 반복하게 만듭니다.
이 부분이 바로 한 번에 여러 일을 하는 것이 좋지 않다는 것을 알면서도 쉽사리 고치지 못하는 이유입니다.
| 멀티태스킹의 문제점
멀티태스킹을 반복하고 우리의 뇌가 지치게 되면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하게 됩니다.
1. 집중력 저하
멀티태스킹을 할 때에 분비되는 호르몬은 집중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전두엽을 망가뜨려 항상 새로운 자극을 찾아 헤매게 합니다. 이는 현대인이 장시간 업무 또는 공부에 집중하기 어려운 이유 중 하나입니다.
2. 학습 능력 저하
런던 대학교의 한 연구에 의하면, 특정 실험자가 주의력을 요구하는 일들을 동시에 여러 개 시행할 때 그의 IQ 지수가 감소하는 현상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때 멀티태스킹을 하고 있는 사람의 IQ 지수는 하룻밤을 꼬박 새거나 대마초를 사용한 사람과 비슷하다고 합니다.
3. 몰입의 방해에 따른 삶의 질 저하
동시에 여러 일을 시행하는 행위는 결과적으로 어느 하나의 일도 제대로 해낼 수 없는 상태의 뇌로 만듭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러가지 일을 동시에 하면서도 어느 것 하나 제대로 완성되지 않는 상황에 허무함을 느끼게 되며 이는 곧 삶의 질 저하로 이어집니다.
4. 디지털 치매 유발
미국 스탠퍼드대 케빈 마도어 박사 연구팀은 기억 실험과 설문조사를 통해 젊은 층에서 멀티태스킹이 과도할수록 '기억력 감퇴와 주의력 상실 또한 커진다'는 연구 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 멀티태스킹에서 벗어나기 위해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멀티태스킹에서 벗어나기 위한 노력을 해야만 합니다. 이러한 문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법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첫째, 한 번에 한 가지 일을 시간을 정해 놓고 처리하며 몰입감을 맛본다.
둘째, 중요한 업무를 할 때엔 모든 알림을 차단한다.
셋째, 이메일 또는 메신저는 시간을 정해두고 답장한다.
넷째, 환기를 위하여 간단한 스트레칭 또는 산책을 틈틈이 해준다.
위의 행동들을 지금부터 하나씩이라도 실천한다면 분명 보다 능률적이며 한 층 높아진 삶의 질을 기대할 수 있을 것입니다.
로마 속담 중에 ‘두 마리의 토끼를 쫓는 사람은 한 마리도 잡을 수 없다’라는 말이 있습니다. 멀티태스킹이 바로 그 대표적인 예시 중 하나입니다. 하나의 일에 온전히 집중을 하는 ‘몰입’ 이 바쁜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꼭 필요합니다.
님의 오늘은 어땠나요? 오늘만이라도 멀티태스킹에서 벗어나 한 번에 하나의 일을 하며 그 몰입감을 온전히 느껴보면 어떨까요? 그 일을 마치고 났을 때의 뿌듯함은 멀티태스킹을 하고 난 뒤의 기분과는 비교도 할 수 없는 성취감일 것입니다. 😊
저도 첫인상에 따라 사람에 대한 호감도가 정해지는 편이라 흥미롭게 읽은 기사였습니다. 특히 초반에 설명해주신 초두 효과를 통해 첫인상에서 받은 정보가 이후 그 사람을 판단하는 데 큰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는 것이란 이론에 대해 알 수 있어 좋았습니다. 이외에도 후광 효과, 빈발 효과를 통해 첫인상의 힘에 대한 이론적인 정보들을 배울 수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