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제부터인가 자기계발서의 열풍이 불기 시작하면서 국내, 해외 할 것 없이 자기계발서가 쏟아져 나왔습니다. 그리고 이제는 서점에 없어서는 안 될 장르가 되어버렸어요.
2023년 2월 22일 한 보도기사에 따르면, 교보문고의 자기 계발 분야 책의 판매는 전년 동기 대비 27.3%가 증가했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자기계발서는 현재 독서 시장 트렌드를 앞장서서 이끌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자기계발서가 꾸준히 베스트셀러에 오르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삶의 방향성을 잃기 쉬운 요즘 시대에 길잡이 혹은 동기부여의 역할이 되어주기 때문 아닐까요?
| 눈에 보이는 것만이 전부가 아니다
판대 위에 놓인 자기계발서를 훑다 보면 이목을 끄는 제목을 시작으로 띠지에는 저명한 인사의 추천사, 저자의 화려한 이력 등이 적혀 있습니다. 일차적으로 신빙성이 보장된 책은 믿음과 기대를 심어주죠.
"이 정도로 성공하고, 무수한 찬사를 받은 사람이 쓴 책이니 이대로 따라 하면 되겠지?"
하지만 이런 섣부른 판단에는 생존자 편향(survivorship bias)이라는 함정이 숨어있습니다.
생존자 편향이란, 생존에 실패한 사람들의 가시성 결여로 인해 비교적 가시성이 두드러지는 생존자들의 사례에 집중함으로써 생기는 편향을 말해요.
생존자 편향의 대표적인 일례로 1943년 제2차 세계대전 미 공군의 항공기 강화 계획이 있습니다.
항공기의 생존 확률을 높이기 위해 임무에서 귀환한 항공기의 총알 자국을 분석한 미 공군은, 당시 항공기의 몸통과 날개가 집중적으로 피격당한 것을 보고 이 부분을 보완하자고 판단했어요.
하지만 여기에는 중대한 결함이 있었습니다. 바로 ‘귀환한’ 항공기만을 분석 대상으로 고려했다는 것이죠.
수학자인 에이브러햄 왈드는 격추되지 않은 항공기가 엔진이나 연료탱크를 파괴당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총알이 맞지 않은 부분을 오히려 강화해야 살아 돌아올 확률이 높아진다는 것이죠.
| 성공이 성공을 부르지는 않는다
책 『스마트한 생각들』에서는 생존자 편향에 대해 이렇게 말하고 있습니다.
“성공에 관한 무수한 책들과 성공을 훈련시키는 사람들이 하는 말에 대해서도 일단은 의심을 해봐야 할 것이다. 그들의 말에는 실패로 끝날 수 있는 시나리오가 존재하지 않는다. 실패한 사람들은 책을 쓰지도 않으며 자신들의 실패에 대한 강연도 하지 않기 때문이다.”(롤프 도벨리, 2012: 238-240)
누구나 작고 초라해 보이는 실패보다는 확연히 드러나는 큰 성공에 더 눈길이 가기 마련이에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성공의 전망을 과대평가하는 실수를 저지르죠.
어쩌면 자기계발서를 읽을 때마다 가슴 한편에서 느낀 불편함은 성공의 눈부심에 속아 꾸었던 꿈과 눈앞에서 마주하는 현실 간의 괴리가 아니었나 싶기도 해요.
| 그렇다고 손을 떼라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편향을 피하고자 자기계발서를 읽지 말아야 하나요? 라고 묻는다면 절대 아니에요. 애초에 인간이라면 편향은 불가피하기 때문이죠. 당장 인터넷에 편향을 검색해 보면 인간이 이렇게 편향적이라고? 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수많은 종류의 편향들이 쏟아져 나옵니다.
인간은 살아있는 한 끊임없이 인지 행동을 하고, 편향은 효율적인 인지 과정을 위한 본능과 같은 것이어서 달리 뾰족한 대처법은 없어요.
하지만 편향을 제대로 이해하고, 인지하는 것만으로도 우리는 많은 실수를 줄일 수 있습니다.
앞으로 자기계발서를 읽을 때, 생존자 편향을 떠올리며 성공담에 숨어 있는 함정을 인지하고, 실패담 또한 성공담 못지않게 가치 있다는 것을 깨닫는다면, 슬기롭게 자기계발서를 활용할 수 있을 거에요.
실패를 담은 자기계발서도 서점 곳곳에 보석처럼 숨어있으니까요.
| 더 나은 삶을 위해 고군분투하는 당신
자기계발서에 관심을 두고, 찾아 읽는다는 것은 더 나은 삶을 살고 싶다는 의지가 아닐까요? 자기계발서를 읽는다고 삶이 극적으로 바뀌지는 않겠지만, 앞날이 그저 막막하고, 어둡기만 할 때 의존하게 되는 건 어쩔 수 없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성공에 가까워질 수 있는 가장 빠른 지름길이 실패라는 것을 알았으니 기대한 만큼 삶이 따라주지 않더라도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이 절대 헛걸음이 아닐 것이라고 믿고 나아갈 수 있을 거에요.
이 기사를 읽는 님께 작은 응원이 닿길 바랍니다.
* 참고 문헌
1) 팀 하포드. (2022). 슈퍼 팩트(김태훈). 세종서적 2) 롤프 도벨리. (2012). 스마트한 생각들(두행숙). 걷는나무 3) 김정한. (2023). 최근 10년간 가장 많이 팔린 자기계발서는 URL: https://www.news1.kr/articles/4960974 4) 네이버 지식백과. (2014). "생존 편향" 정의 URL: https://terms.naver.com/entry.naver?cid=51065&docId=2176174&categoryId=51065
|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
사진을 누르면 원문으로 이동합니다.
목표 달성률을 높이는 SMART한 방법
올해 초에 다짐했던 목표를 얼마나 이루셨나요? 한 연구에 따르면 미국인의 23%가 새해 첫 주가 끝나기도 전에 새해 다짐의 실행을 포기한다고 해요. 그리고 실행했다고 해도 6개월 이내에 대부분 그만둔다고 합니다. 마지막까지 자신의 목표를 위해 노력한 사람들은 9%라고 하는데요, 연말을 향해가는 요즘 여러분의 목표는 어떤가요?🏃♂️
당신의 삶은 '건강'한가요?
‘건강하게 사는 것’은 우리의 몸뿐만 아닌 건강한 정신을 만드는 것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몸 건강이 좋지 않은 상태에서 과연 자신의 마음이 안녕할 수 있을까요? 우리가 하루하루를 ‘건강’하게 사는 것은 즉 우리의 심리 건강을 비추는 척도와도 같은 역할을 합니다. 자기의 삶에서 일어나고 있는 중요한 현상을 ‘있는 그대로’ 자각하고 느낄 수 있을 때 자기계발을 시작으로 건강한 삶을 만들어 갈 수 있을 거에요.🚴
완벽주의는 생각보다 우리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 같습니다. 완벽하게 일을 성공시키려는 사람들뿐만 아니라, 지금 상황이 완벽하지 않아 괴로움을 겪는 사람들도 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완벽주의가 미루기의 원인이라는 것도 새롭게 알게 되었네요. 완벽주의 성향을 가진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